728x90
연말정산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일
세금을 떼고 월급을 받는 직장인의 급여 소득에서
원천 과세한 일 년 동안의 소득세에 대하여
과부족에 대한 액수를 정확히 다시 한번 계산하는 것
원천징수
소득에 대한 세금을 직장인인 본인이 직접 납부하지 않고,
소득 지급자인 회사가 미리 징수해 국가에 대신 납부하는 방법
※ 월급 명세서에 찍혀 나오는 실급여 금액은 회사가 각종 세금을 대신 납부한 뒤 남은 금액임
종합소득
흔히 소득이라고 일컫는 소득은 '종합소득'을 의미하며
소득공제라는 말도 보통 종합소득공제를 뜻함
소득세법상 종합소득은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총 6가지로 분류하며 해당 소득은 모두 원천징수 전 소득임
기본공제
연말정산에서 과세표준을 계산하기 위해
나이와 소득 금액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1인당 연 150만원을 소득공제 해주는 제도
추가공제
기본공제 대상자 중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추가로 공제 혜택을 주는 제도
과세표준
과세표준 : 종합소득에서 소득공제를 뺀 값
세금을 부과하는 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것으로
이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해 세액이 결정됨
소득공제 :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인 과세표준을 줄이는 작업
대표적인 소득공제 : 인적공제
목적 : 납세자의 세금 부담을 줄이며 최저생계비 보장
인적공제
연말정산 시 본인과 가족에 대해 공제해 주는 것
기본공제, 추가공제, 특별공제
3가지로 나뉨
'연말정산과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제대로 이해하기 ① 연말정산의 뜻 / 연말정산 하는 이유 / 급여명세서 보는 방법 (0) | 2022.02.21 |
---|---|
2022년 최저임금 9,160원, 최저임금이 올라도 나의 월급은 안오르는 이유 (0) | 2021.07.13 |
2021년 기준 최저 생계비 (0) | 2021.06.23 |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0) | 2021.06.09 |
미환급금 찾기 서비스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