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벌써 10일이 지났습니다.
종무식 시무식 모두 무사히 마치셨겠지요?
제가 근무중인 회사는 성과관리을 위해 회사에서 KPI를 설정해서 제출해야하는 시즌입니다.
KPI또한 #직장에서많이쓰는용어 중 하나네요. #KPI란 무엇일까요
KPI(Key performance lndicators) : 핵심성과지표
KPI란 팀이나 조직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추적하고자 하는 지표에 따라 팀 혹은 개인 KPI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저도 제 #개인KPI 를 제가 설정해서 제출해야 하고, 회사는 그걸 보고 저(개인)의 업무평가에 참고하겠죠
KPI는 크게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정량적은 양의 수치이고 정성적은 속성이나 품질을 파악하는 수치입니다.
<예시>
사원A가 한달간 올린 매출액, 영업이익 = 정량적지표
사원A의 근무태도, 고객과의 관계, 업무처리방식의 효율성 = 정성적 지표
저의 경우 개인KPI로는 업무에 관련있는 자격증취득이나 관련 교육이수등을 적어내고 있습니다만
타부서는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하게 지표화해서 제출하라고 하는 팀도 있다고 하더군요.
팀이나 조직의 KPI는 주로 재무적 성과 달성에 중점을 두고 (예: 년매출 100억원)
그 목표를 이루기위한 과정이나 방법에 대한 서술은 없습니다.
그런데 KPI에 대해 검색해보면 OKR이 연관검색어처럼 따라붙습니다.
그렇다면 OKR은 무엇일까요?
OKR(Object and Key Result) : 목표와 핵심 결과
OKR는 구글에서 부터 온 성과관리 제도입니다.
구글 뿐만아니라 세계적인 많은 대기업들이 택하고 있는 인사·성과관리제도로
최근에는 국내 기업들도 새로운 성과관리방식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하네요.
목표중심적인 KPI에 비해 OKR은 목표를 어떻게 실행에 옮길지에 대한 관리방법 이라고 말하는게 옳을것 같습니다.
조직 전체가 동일한 사안에 집중해서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을 관리하기 때문에
협업이 필수인 직종에서는 OKR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KPI, OKR이 필요한 이유는?
평가를 받는 일은 피곤하고 스트레스받는 일입니다.
하지만 모든 기업은 작년보다 더 나은 성과와 실적을 원하고, 이를 위해 움직입니다.
하지만 각팀과 직원들의 개개인을 확인하기는 힘들지요.
회사차원에서는 조직을 경영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평가서가 필요할겁니다.
그것이 바로 KPI와 OKR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직장인들에게 유용한 정보 >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69시간 근무?! (0) | 2023.03.06 |
---|---|
LG U+ 개인정보 유출 / 엘지유플러스 개인정보 유출조회 (0) | 2023.01.14 |
주 69시간 근무? 주휴수당 폐지? (0) | 2022.12.16 |
직장에서 많이쓰는 용어정리2 (0) | 2022.08.26 |
국립공원 스탬프 투어 프로그램 (2022년 4월 22일부터 배포시작!) (0) | 202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