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환경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요즘
전세계에서 쓰레기 처리에 관련된 문제는 사회의 주요 이슈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쓰레기 처리 문제를 두고 나라간의 외교문제까지 발생하고 있지요.
개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대기업에 대한 규제가 시급하다는 여론의 확산으로
2019년 환경부에서는 일회용품 사용줄이기 위한 중장기 단계별 계획을 발표했었습니다.
*관련내용 링크 -기획재정부 운영 공식 블로그 (2019년기준) : https://blog.naver.com/mosfnet/221742569620
이 때의 계획대로라면 2021년인 지금 카페등에서 일회용컵 사용이 전면중지 되었어야 합니다.
하지만 2020년부터 터진 코로나19
(제가 이 보고서를 다시 조사하고 써야하는 이유..)
코로나19로 인해 카페의 일회용컵 사용을 일시적 허용하였지만
전 세계적인 수치를 보면 공장 가동 차량운행 중단 등 국가 봉쇄조치로 대기질이 크게 개선었다고 합니다.
*관련내용 링크 -기획재정부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847
대기질 개선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외출하는 사람들이 크게 줄면서 야생동물과 해양생물의 활동 또한
활발해졌다는 기사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관련내용 링크
- 코로나19가가바꾼 '바닷속 풍경'(BBC news 코리아)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6099620
- 코로나로 해변 인적 끊기자...(중앙일보 국제 2020.04) https://news.joins.com/article/23762761
코로나19로 인한 환경문제 :: 대기질은 개선되었지만 폐기물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내용은 짐작이 되시지 않나요?
배달음식, 온라인쇼핑의 증가로 인한 일회용품 사용량 증가와
일회용 마스크의 사용량 증가....
역시 지구의 적은 인류인가...
이로 인해 수도권 최대 쓰레기 매립지가 포화상태로 폐기물 대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장기적인 안목으로 녹색 인프라 구축에 힘써 탄소 배출 제로화로 가야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와 언론은 기후위기와 쓰레기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알려 국민들의 관심도를 집중시켜야하고
변화의 방향에 대한 꾸준한 정책발표 및 시행이 필요해 보입니다.
개인이 할 수 있는 노력 :: 제대로 버리기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대한민국 모든 사람들이 분리수거를 제대로 하고 있다 라고 말할순 없지만
우리나라는 쓰레기 = 분리수거해서 버린다. 라는 상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다수 주에서 분리수거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 때 충격과 허탈감이 컸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렇게 큰 나라에서도 안하는데...우리는 이렇게 열심히 하고 있어
그래도 나 하나쯤이야 보다는 나 하나라도, 지구와 환경을 위한 실천을 하는게 중요한 2021년 입니다.
환경부 자료관에 분리배출 재활용 가이드라인 요령이라는 내용의 PDF파일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http://me.go.kr/home/file/readDownloadFile.do?fileId=158011&fileSeq=1
그러나 모바일로 확인이 어려워보이네요 😵💫
그래서 최근에 발견한 사이트 주소도 공유합니다
쓰레기 백과사전 http://blisgo.com
검색형 사이트로
상세한 정보들이 보기 쉽게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런 사이트까지 찾아보는 성격이다(?)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은 사람들이거든요
(바로 저 처럼요)
일반 가정집에서 자주 구입하는 우유팩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검색해 보았습니다.
상세하게 설명이 되어있고 우측 하단에 비슷한 유형인 멸균팩 안내 링크까지 되어있어요.
안내 링크를 따라 멸균팩도 검색해보았습니다.
비교해서 자세하게 안내가 되어있네요.
이 외에도 분리수거 쓰레기에 대한 정보가 꽤 상세합니다.
쓰레기는 사용의 양을 줄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수돗물이 넘치는 상황이 되면, 넘치는 물을 퍼내는 것 보다 수도꼭지를 잠그는게 먼저인 것처럼요.
하지만 지금 세상의 시스템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 내일부터 바로 쓰레기를 제로배출할 수는 없기 때문에
슬기로운 분리수거 방법을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분리수거와 관련된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에게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보고서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소비 트렌드 / 2022년 범띠해 10대 트렌드 (0) | 2021.11.03 |
---|---|
B2B 와 B2C의 차이점 / 각 사업의 필수역량 (0) | 2021.09.28 |
미국 금융 빅테크 회사 사무실 복귀 계획 (0) | 2021.06.17 |
모바일 APP 디자인 트렌드의 변화 (0) | 2021.06.14 |
2021 트렌드 키워드 분석 보고서 (0) | 2021.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