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수익이 있는 성인이라면 아마 최소 1장이상 지갑에 가지고 있으실 겁니다.
신용카드를 마구 사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지만
급할때 미래의 내 수익을 끌어 쓸수 있는 마법같은 도구가 바로 신용카드이니까요.
그렇다면 신용카드 결제일은 언제로 설정해두셨나요?
혹시 급여일 다음날 쯤으로 잡아두진 않으셨나요?
저 역시 얼마전까지 결제일은 늘 급여일 +2일쯤으로 설정해두었습니다.
이유는? 제 통장에 돈이 들어올 때가 그때니까요. (내인생..내가 기준!)
계좌에 돈이 있어야 카드대금이 빠져나갈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카드의 결제일을 내기준대로 설정해두면 나의 전월실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이전달 내가 사용한 금액은 카드 청구서에 찍혀있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청구금액을 실적으로 착각하면 안됩니다!
청구금액은 전월실적이 아닙니다.
전월실적(전달 이용금액)이 얼마인지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카드대금 결제일을 신용공여일에 맞추어 설정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 두줄이 이번 포스팅의 핵심내용입니다.
이해를 돕기위해서 먼저 신용카드와 관련된 용어의 뜻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현명한 신용카드 사용을 위한 신용카드 관련 기본 용어 정리
전월실적
이전달 1일에서 31일까지 사용한 금액 입니다.
이 전월 실적을 기준으로 카드사들은 이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결제일별 이용기간
결제일에 청구되는 요금이 산정되는 카드 사용기간 입니다. 이 기간안에 이용한 금액이 결제일에 납부하게 됩니다.
결제일
한달에 한번 신용카드로 결제한 금액(카드값!)이 연결해둔 결제 계좌에서 출금 되는 날입니다.
결제일은 카드사마다 다르게 선택이 가능합니다.
신용공여기간
고객이 카드로 물건을 사거나 현금서비스를 받는 날부터 대금을 결제하거나 돈을 갚는 날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조금더 쉽게 설명하자면 카드대금 결제일과 한달의 카드 이용기간 사이의 기간 신용공여일은 대부분 14일이 기준입니다. 하지만 카드사별로 다르기 때문에 내가 사용하는 카드의 신용공여일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카드대금 결제일을 신용공여일에 맞추어 설정해 주면
내 카드 청구금액=전월실적 이렇게 한눈에 파악이 가능합니다.
1. 내가 사용하는 카드의 신용공여일 또는 결제일별 이용기간을 검색
2. 결제일별 이용기간에 전월1일~전월 말일 인 날짜를 확인
3. 2에서 확인한 날짜를 카드 결제일로 설정
신한카드는 전월1일부터 말일까지 사용한 금액을 청구금액과 맞추려면 결제일을 14일로 정해야 합니다.
롯데카드와 우리카드, KB국민카드도 결제일을 14일로 하면 '카드 이용실적'과 '전월실적'이 같아집니다.
삼성카드의 경우 13일과 14일 양일중 하루를 결제일로 정하면 전월과 신용공여기간이 맞네요.
BC카드의 경우 회원사별로 결제일이 다르지만 대부분 14일이 기준입니다.
하나카드는 13일, 현대카드는 12일이 신용공여기간을 전월과 맞출 수 있는 결제일입니다.
두 회사는 신용공여기간이 다른 회사보다 짧군요!
100% 이해가 안되셔도 괜찮아요.
사실 실생활에서 신용공여기간을 알아야 할 일은 별로 없습니다...
+ 카드 결제일별 이용기간 정리가 잘 되어있는 곳 링크 공유합니다
https://www.card-gorilla.com/contents/detail/971
카드사별 추천 결제일은? 신용카드 결제일별 이용기간 총정리 | 카드고릴라
카드 이용대금명세서에 명시된 청구금액 = 내가 이전 달에 사용한 금액?신용카드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 많이 하는 실수가 바로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답은 NO. 매월 1일부터 꼬박
www.card-gorilla.com
'직장인들에게 유용한 정보 >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 용어 사전① (0) | 2022.02.12 |
---|---|
NFT란 무엇인가? (0) | 2022.02.02 |
공급망 붕괴는 일시적일까? 금리인상의 배경 (0) | 2022.01.21 |
2022년 바뀌는 금융제도 / 경제용어정리 (0) | 2022.01.13 |
2022년부터 시행하는 청년복지 정책 / 19~34세 청년정책 / 2030 경제정책 (0) | 2021.12.30 |